[the Mallory Effect]에서 주인공 Mallory 역을 맡으며 등장한 Josie Maran.
정말 아름다운 외모와 얼굴을 갖고 있어서 진작부터 관심을 갖고 예전... 제 엔토이 홈피에도
이미지를 올렸던 Josie Maran.
하지만 이후 [Van Helsing]에서 나오자마자 죽는 뱀파이어로...
[Little Black Book]같은 영화에서도 브리터니 머피의 들러리로 나오는 등, 잠재력에
비해 영 빛을 발하지 못하던 그녀가 마틴 스콜세지의 화제작 [the Aviatior]에도
잠시... 얼굴을 내보인답니다.
앞으로 더 멋진 활동을 기대하며, 그녀의 이미지를 올려 봅니당...

 

 

 

 

 

 

 

 

 

 

 

 

 

 

 

 

 

 

 

 

 

 

 

 

 

 

 

 

 

 


[Harold and Kumar Go To White Castle]
Directed by Danny Leiner
2004 / approx 88 min / US R rated
.......................................................................

미국에서 소수 아시아인으로 살아 간다는 것, 특히 일본인도 아닌 한국인으로 살아 간다는
것이 그리 녹녹치 않음은 굳이 미국에 살아보지 않았던 이들도 이래저래 풍월로나마 들어서 짐작하고 있을 거다.
토털리 아메리칸인 대니 라이너 감독이 무슨 동기로 이런 영화를 만들었는 지 모르지만,
이 영화는 소수 아시아 인에 대한 적정한 애정으로, 그와 동시에 적정한 편견으로 가득한 한편의 어드벤처이며, 환타지이며, 로드무비인 동시에 버디 무비이다.

이 영화를 보면서 시종일관 넘쳐나는 섹스, 마약에 대한 화장실 유머에 공감할 수 있다면 이 영화는 적잖은 즐거움을 선사할 거다.

주인공 해롤드는 실제 한국 교포인 John Cho가 열연한다.
실제로도 버클리와 캘리포니아 대학을 졸업한 재원인 그는 여기서 동료들이 업신여기며 동료들의 일감을 떠맡는 투자 은행의 직원을 맡았다.
또다른 주인공 쿠마는 인도인으로 의사로서의 가업을 잇기를 거부하는, 마냥 대책없는 친구로 등장한다.

이 영화는 시종일관 두가지 대립 구도로 정리된다.
아무 이유없이 이 둘을 괴롭히는 동네 백인 양아치들, 폭력적인 백인 경관, 해롤드를 업신 여기는 백인 동료 직원등으로 대변되는

양아치 백인들과 이들에게 수없이 괴롭힘을 당하는 해롤드와 쿠마, 수퍼마켓의 인도인 주인,

아무 이유없이 책보다가 경찰서 구치소에 수감된 흑인등의 유색인종... 이렇게 단순명확한 이분법에 의해 따악... 갈린다.
여기엔 올리버 스톤식의 blue eyed intelligent가 바라보는 아시아인 또는 아시아에 대한 선입견도 만만치 않다.
특히 해롤드는 영화의 재미를 위해 지나치게 한국 교민들의 공동체가 부각되고, 캐릭터가 장식된 느낌이 강해서 '정말 저러고 사냐?'는 물음을 쉴 새 없이 하게 된다.
덕분에 막판에 해롤드가 마치 메뉴얼처럼 사는 인생의 껍데기를 요절복통 에피소드 끝에
한꺼풀 벗어날 즈음엔, 마치 '동양인은 그래야 한다'고 뇌까리는 듯한 메시지를 느끼게 된다.
뭐... 사실 실제 미국 교포들의 삶이 이러하다면 할 말이 없지만,
그리고 그것이 대니 라이너 감독의 애정어린 충고일 수도 있지만 답답한 건 사실이다.
그에 비해 쿠마역은 되려 애정이 간다.
대책없이 마리화나를 밝히고, 해롤드가 메뉴얼에 집착하는 것과 달리 정해진 자신의 길에
대한 확신도 없고, 무얼 꼭 하려는 의지도 없는 이 한심한 역할은 되려 그루브해 보인다.

어쨌든, 두 캐릭터에 대한 도식적인 단면은 영화적 내러티브를 위해 어느 정도 필요했음을
감안하고 본다면 이 영화는 대단히 매력적이고 유쾌하다.
마리화나를 진득하게... 한 후 TV에서 나온 '와잇 캐슬'의 햄버거 광고를 보고 이 햄버거
가게를 찾아 나서면서 벌어지는 황당무개한 에피소드를 다룬 이 영화는 각각의 에피소드가
워낙 파격적이어서 도대체 이게 현실이야, 환각이야 할 정도로 의아스럽다.
이 새벽녘 동안 일어나는 한바탕 소동은 마틴 스콜세지의 [After Hours]처럼 초현실적이고
비정상적이다.

영화의 끝은 누구나 짐작할 수 있는 내용이다.
어차피 캐릭터가 좁디 좁은 껍질 속에서 허우적거리는 loser라면 이런 코미디에서 취할 수 있는 결말이란 뻔한 거니까.
하지만, 뻔한 결말을 어떻게 이끌어 내느냐가 정작 중요한 거라면,
이 영화의 방법론은 제법 성공적이다.

원하는 것을 찾기 위해 여러 난관들을 거치겠지만, 결국 원하는 무언가를 얻고 난 후엔
자신도 환경을 바꿀 수 있을 만큼 성장한다는 이 지극히 평범한 교훈은 자신의 울타리에서 묶여 경제적 성공이란 현실에 얽메일 수 밖에 없는

소수 아시아계에게 대니 라이너 감독이 하고픈 말이었던 것 같다.

**
이 영화는 아주 돌아버릴 만한 에피소드로 중무장하고 있다.
양아치들의 차에서 흘러나오는 음악들은 그 중 압권이다.
그리고... 치타도 무시하면 큰 코 다치겠지.

 

 

 

 

**** 수퍼 스포일러! 영화 못보신 분이라면 읽지 마세요 ****

변혁 감독의 [주홍글씨]는 의외의 영화였다.
하도... 그리 좋은 얘기를 못들어서 인지 별 기대없이 봤던 이 영화는 의외의 수확.
또다른 발견이었다.
한석규의 연기는 최소한 그가 과대포장되'었'던 건 아니라는 걸 여실히 증명해보였고,
엄지원의 연기는 다소 스테레오 타입의 정형에서 벗어나지 못했더라도 설득력 있었고,
이은주의 연기는 힘든 역, 그녀의 태생적 한계같은 발성을 제법 잘 극복한 느낌이었다.
성현아...
어색한 연기가 아직도 여전하고, 동일한 표정에 동일한 시선만 보여준 연기가 못내 아쉬웠다.

어쨌든...
이 영화는 다른 건 다 차치하고서라도 마지막 20여분간에 하고자 하는 말을 다 한다.
사람이 사는 공간을 얘기해야 한다는 내 영화관...과 [주홍글씨]는 사실 제대로 매칭이 되질 않는다.
한석규가 경찰이란 건, 아주 간간히 들려오는 통화 내용과 데스크에 앉아 있는 모습 뿐.
그가 늘 고민하는 것은 기껏해야 정부와 처와의 관계니까.
이은주가 재즈 뮤지션 또는 싱어라는 것은 전혀 프로페셔널하게 보여지지 않으니까.
결국 모두의 직업, 그러니까 생활은 그저 서로의 애정 관계를 보조하는 '곁다리' 설정에 불과하다.
난 이런 한국 영화의 퇴행적 행태가 정말이지 신물이 난다.

그래도...
[주홍글씨]는 이런 반복되는 한국 영화의 공허한 공간감을 답습하면서도 영화적 메시지는 결코 잃지 않는다. 다른 건 다 필요없다.
마지막에 이르러 트렁크에 어이없이(??과연??) 갇히게 된 이은주와 한석규의 장면은 이 영화의
모든 이야기를 다 끌어 안고 있는 힘이 있다.

아...
이 장면은 정말 괴롭다.
지독하게 곤혹스럽다. 보는 것이 힘들 정도로 말이다.
나만 그런 것이 아니더라. 회사 동료에게 물어봤는데 '그 마지막 트렁크 장면은 정말이지 짜증났어요'라고 말하더라.
당연하다. 나도 미치는 줄 알았으니까.
그 좁은 공간의 정욕, 지배당하는 시간에서 지배하고 군림하는 시간으로, 냄새, 답답함, 어두움, 환각, 괴로움, 고통이 모조리 상상이 되고 날 것처럼

내 코와 눈과 귀로 스며드는 듯한 느낌을 지워버릴 수 없었으니까.

감독인 들 그걸 몰랐을 리가 없다.
하지만 이 장면이 짧았다면 이 영화는 정말 뽀대나게 만들려고 기를 쓴 뭐같은 '웰메이드' 영화의 표피만 뒤집어 쓴

앙꼬없는 찐빵에 다를 바가 없었을 거다. 관객들이 이 장면을 보면서 괴로와하고 곤혹스러워하며 시선을 돌려버리거나, 장면을 넘겨버리고 싶은

바로 이 영화의 이 시간들이야말로 감독이 말하고자 했던, 그토록 이은주가 원했던 둘 만의 공간이 드러내 보이는 공간 바로 그 자체의 느낌일 거다.
바로, 사람들이 이 둘을 바라보는 그런, 그 자체의 느낌일 거다.

**
그래서... 마지막 성현아의 '사랑하면 괜찮은 건가요?'라는 대사는 대단히 작위적이고 뜬금없으며,
생뚱맞다.

 

 

 

 

 


 

 

[the Door in the Floor]
Directed by Todd Philips
2004 / approx 111 min / US R rated
-------------------------------------------------------

브라질의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인 Marcelo Zarvos의 음악이 꺼져버릴 것 같은 스크린의
분위기를 미약하게나마 지켜 서있듯 들려오는 [the Door in the Floor].
사실 이 영화는 킴 베이싱어가 오랜만에 전라의 베드씬을 거침없이 해냈다고 더 알려진 영화다.
물론... 이 따위 가십은 영화를 본 사람이라면 부당하기 짝이 없는 시선이라고 주저없이 얘기할 수 있겠다.
기껏해야 스포츠 찌라시 기자들이나 입에 무언가 물고 우물우물거리며 키득거리고 써 나갈 내용말이다.

이 영화에서 제프 브리지스의 연기는 테드 콜, 바로 그 자신이다.
연기라는게 또다른 누군가가 되어 거짓말을 하는 것이라고 누가 뇌까리더만, 이 영화에서의 제프 브리지스는 바로 그 자신이 테드 콜이다.
한순간 날아든 비극, 그리고 그 비극의 수렁에서 결코 벗어날 수 없는 자신과 아내.
균열이 겉잡을 수 없을 만큼 벌어진 후에도, 얽메어 지탱하던 가족이란 허울이 때론 더욱 큰 짐으로 다가올 수 있음을

이 영화는 차분하면서도 신랄하게 드러내 버린다.

그가 혼자 스쿼시를 하는 그 방 바닥에 뚫린 문(the door in the floor).
현실이 엉겁이 되어 겹겹히 그를 둘러싸고, 아무 것도 할 수 없음을 알고 있는 그들은 삶의 무게에 파묻힌 채 표류한다.

갑작스레 닥쳐온 가족의 비극이 표면적인 이 균열의 이유겠지만,

이 영화는 그동안 헐리웃 영화들이 해왔던 노골적인 가족 이데올로기에 대한 찬양을 정반대의 시각에서 차분히 정리해본다.
그리고 그 정리의 시간은 참으로 괴롭고 허무하며, 절망적이다.

[House of Sand and Fog]이 아메리칸 드림에 대한 이민자 가정의 시선에서 본 가족
이데올로기에 대한 처절한 풍자였다면, 사실 이 영화도 이민자 가정이 아닌, 전형적인 미국
중산층 가정의 이야기이지만 그 것과 궤를 같이 하는 영화라고 봐도 무방할 듯 싶다.
물론 로버트 레드포드의 [Ordinary People]을 떠올릴 수도 있겠고
난니 모레티의 [La Stanza Del Figlio/아들의 방]을 떠올릴 수도 있겠다.

킴 베이싱어의 베드씬은 대단히 노골적이지만, 그녀가 분한 매리언 콜의 하염없는 절망이 사무치게 느껴지기에 서글프고, 안타깝게만 다가온다.

언젠가부터 헐리웃에서도 가족에 대한 접근이 호들갑과 찬양 일색이 아니라 조금씩, 그 구조적인 실체를 조금씩 성찰하기 시작하는 것 같다.
그동안 주로 이방인 감독들의 눈에 의해서 였지만, 이젠 그들 내부에서도 이런 조짐의 움직임이 보이는 듯 하기도 하고...

**
드니 아캉(Denys Arcand)의 [Les Invasions Barbares/야만적 침략]을 못보셨다면 반드시 보시길 권한다.

***
이 영화에서 그 유명한 미미 로저스의 모습은 가히... 충격적이다.
하지만 그녀는 에디의 뺨을 날리며 정말... 잊기 힘든 대사를 날린다.

 

 

 

 

 

 

 

 

 

미국인들이 옹호하는 가족 지상 주의는 다분히 이데올로기적이다.
그렇다고 이런 소재를 차용하는 컨텐츠들을 다 싸잡아 다분히 '정치적'이다라고 말하는 것도 무리다.
좋건 싫건 가족 이데올로기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는게 지금의 현실이니까.

그런 이유에서 몇몇 잡지의 소위 영화 기자라는 사람들이 [the Incredibles]에 내린 평가는 부당하다.
Brad Bird 감독의 언더 라인은 고사하고, 이 애니메이션이 Pixar의 로드맵에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사실은 망각한 채

그저 '미국인들이 좋아하는 수퍼 히어로'라는 이유로 폄하하는 것은 진정 부당하다.

다른 건 다 차치하고서라도...
이 영화에서 보여준 놀라운 기술적 완성도는

얼마전 감탄하면서 보았던 일본의 Tune Shading 기법의 애니메이션 [Apple Seed 2004 the Movie]를 한없이 초라하게 만들 정도의 수준이었다.
꼬마 대쉬가 바람을 가르며 달려가는 놀라운 장면은 수십번 반복해서 봐도 입이 다물어지지 않을 정도의 속도감을 선사하고 있고, 수없이 많은 장면에서

정교하게 짜여진 액션씬의 연출은 그야말로 거의 모든 실사 영화들을 민망하게 만들 정도로 강력한 사실감과 파워를 보여주고 있다.

Pixar가 여지껏 해오지 못했던 것을 위해 Brad Bird를 부른 만큼, 그리고 그들이 곧 2005년엔 Disney와 결별할 것이 뻔히 예상되는 바,

Brad Bird는 기술적인 완성도에 수퍼 히어로 가족이 갖고 있는 현실적인 고민과 천재의 범재화 또는 박제화에 대한 에피소드를 잘 곁들여 감싸 안고 있다.
물론 그 시선은 지극히 모호한 편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수퍼 히어로 가족들이 현실로 내몰려 스스로의 능력들을 감추고 살아가야 하는 처연함,

그리고 그 처연함 속에서 잃지 않는 일말의 희망은 나름대로 촘촘한 이야기 구조를 갖고 극의 결말을 위해 거미집을 만든다.

악역의 '신드롬'이 인크레더블에게 내뱉는 말이 있다.
'난 재미를 좀 본 후면, 내가 발명한 것들을 팔아 치울 거야. 그럼 사람들이 모두 수퍼 히어로가 되겠지.
모두가 수퍼히어로가 된다면? 모두가 평범해질 뿐이겠지'라고.

 

 

 

 


 

 

 

 

[Sideways]
Directed by Alexander Payne
2004. approx 123 min. US, R rated.
............................................................

얼마전 미국과 영국에서 개봉된 Alexander Payne 감독의 신작 [Sideways]가 난리인 모양입니다.
그의 수작들인 [Election]과 [About Schmidt]를 압도하는 반응을 얻고 있는데요.
물론... 박스 오피스 스코어로서의 열광이 아닌, 영화광들에 의한 열광입니다만 말이죠.
IMDB 스코어는 현재 8.2/10(659 votes)에 이르고 있고, 영화평론가들의 장인 metacritics.com에선 자그마치
9.2로 그간 1위를 지켜오던 [Before Sunset]을 밀어버렸습니다(물론 최근의 영화들 평점 중).

전 Alexander Payne이 Wes Anderson, Paul Thomas Anderson이나 Darren Aronofsky의 레벨은 아니라고
어느 정도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Election]의 생뚱맞은 분위기나 전혀 교훈적이지 않은 매서움도 좋았고,
[About Schmidt]의 황량한 따스함도 좋았지만, 전 그의 영화가 약간은 '루즈'하다고 생각하고 있었거든요.
그 '루즈'함은 이상하게도 [About Schmidt]보다 더 갈등구조가 명백한 [Election]에서 심하게 느껴졌구요.
그런데 이번 작품은 어떨지 궁금합니다.
Michel Gondry가 [Human Nature]의 어수선함을 딛고 [Eternal Sunshine of the Spotless Mind]라는 걸작을 만들어 낸 것처럼...
 Alexander Payne도 미쳐 깨지 못한 허물을 벗고 비상했을 거라 기대해 봅니다.

[Sideways]의 내용이라면 실패한, 인생 낙오자들이 여행을 떠나면서 자신들의 삶과 인간관계등을 재탐험하는...
그런 내용인 듯 합니다. metacritics.com에 구체적인 내용이 있으나 읽으면 당근 재미가 반감되므로... 읽지 않았습니다.

대신... 예고편이나 한번 땡기시죠.

 

 

 

 

*
아... 이 영화엔 [American Splendor]에서 하비 페커로 나왔던 Paul Giamatti를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리고... 이 영화엔 Keith Gordon의 수작 [Waking the Dead]에서 대책없는 형의 애인으로 등장했던
Sandra Oh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그녀는 아는 분은 다 알다시피... 한국계입니다. 부모가 모두 한국사람이죠.
다이앤 레인의 [Under the Tuscan Sun]에서도 절친한 친구로... 하다못해 스티븐 소더버그의 [Full Frontal]에선 단역으로...
인디 영화부터 메이저까지 두루두루 볼 수 있는 얼굴입니다.

 

 

 

 


 

 

[Closer]
Directed by Mike Nichols
2004. approx ?. US R rated.
..........................................................

[Regarding Henry/헨리 이야기], [Primary Colors/프라이머리 컬러], [the Birdcage/버드케이지], [Working Girl/워킹 걸]등의
영화를 연출한 중견 감독 마이크 니콜스가 줄리아 로버츠, 쥬드 로, 나탈리 포트먼, 클라이브 오웬등의
초호화 캐스팅을 통해 만들어낸 신작.

클라이브 오웬은 배우 이력에 비하면 헐리웃에서의 인지도는 강하지 않았죠.
저야 BMW 모델일 때 알게 되었고... [the Bourne Identity]에서도 BMW를 끌고 프로페서로 불리우는 암살자로 등장합니다.
당근... BMW의 Commercial Film인 [Hire]에도 출연을 했구요.
최근엔 [King Arthur]나 [I'll Sleep When I'm Dead]로 주연급 배우로서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어쨌든...
이 영화 [Closer]는 한 눈에 빠진 두 커플이 점차 어긋나며 다른 사랑을 겪는 얘기더군요. 서로 간의 관계가 교차되어 버리는,
요사이 헐리웃 영화에서 종종 볼 수 있는 mass character의 한 형태같아요.

재미있을까나...
사실 이런 얘기 이젠 불쾌하기까지 할 정도로 흔해서...
특히 울나라 드라마에서 질리게 봤잖아요. 풀어가는 방식이 다를 지라도 사실 뭐... 끝을 파 보면 그닥 다를게 없는 붕어빵.

 

 

 

 

 

 

 

 

 

 

[Diarios de Motocicleta]
Directed by Walter Salles
2004. approx 128 min. Argentine/Brazil


체 게바라의 여정의 끝이 아닌 시작의 길목에 서서 영화는 마무리된다.
그가 앞으로 내딛는 혁명 전사로서의 비행이 하늘 높이 날아 오를 때,
그의 친구 알베르토 그라나도 역을 맡은 로드리고 데 라 세르나의 응시가
곧 아직 생존해 계시는 알베르토 그라나도 자신의 시선으로 클로즈업된다.

페루의 나환자 마을과 숙소... 강 하나를 두고 벌어진 괴리와 단절을
이어보겠노라, 그가 자신의 다짐과 결심을 확인하다시피 한 강건너기는
여느 영화에서의 낯뜨거운 감동의 변죽이 아닌, 진솔한 감정의 울림으로 다가왔다.

체 게바라가 바라보는 라틴 아메리카의 현실도 그다지 우리가 알고 있는 '지난함'과
별 다를 바가 없었는데, 왜 영화의 말미에 가서 나도 모르게 목이 메고 눈시울이
젖어 버리는 지 알 수가 없었다.
마음이 멎어버리는 듯한,
이 영화를 보는 내 자신이 한없이 초라하고, 부끄러워지는 영화.

DVD가 나오면 무조건 사야겠다.
OST도 사야 겠고.

*
이 영화의 Executive Producer는 다름아닌 로버트 레드포드...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