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의 [몽상가들]은 표면적으로 좌파우파의 대립이 다른 국면으로
치달아 내달리고 있는 현 시점에서 나온 회고작이다.
누구나 알듯이 자본주의적 역사관은 언제나 순환주의적 역사관을 사랑한다.
우리는 아주 쉽게 과거의 사안에 대해 몇주년 기념식이라는 글로 기억될 과거사를
박제화하고 정체시킨다.
알든 모르든 이건 분명히 자본주의의 술수고 전략이다.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의 [몽상가들]이 68혁명을 다룬 영화임에도 정작 혁명의 본질적
문제는 다루지 않았다고 성토하는 사람들의 의견에 도통 이해가 가질 않는다.
혁명을 들여다보는 시각이 언제나 가두집회나 장외투쟁에만 있지 않으니까.
혁명은 언제나 존재하는 공간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이다.
그건 이상일 감독이 무라카미 류의 소설을 근간으로 발표한 [69]에서도 보여진다.

이사벨,테오 남매와 매튜가 한달 동안 거의 옷입은 거 없이 집에서 뒹구는 모든 장면은
그야말로 라이히의 책들이 비주얼로 구현되어 보여지는 장면들이다.
이들은 누구나 떠들던 가족주의와 종속적인 성의식을 깨부수려는 시도를 한다.
그건 시도가 아니라 본능에서 나온, 그들의 머리 속에서 튀어나온 시도들이었지만...
하지만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는 이점에 대해 제목에서 분명히 [몽상가들]이라고
못박았다.
그리고 이사벨이 매튜와 오럴섹스를 하던 중 옆방의 소리를 듣고 난데없이 울음을
터뜨리는 것이나 매튜가 자리를 비운 사이 알몸의 이사벨 옆에 드러누운 테오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자본주의적인 가족주의의 공간이 이상으로만 깨부술 수 없음도 드러낸다.
라이히의 책들은 다시 먼지묻은 서재 속으로 쳐박히고, 아이러니하게도 이들은
이러한 파격의 시간 속에서 서로를 확인한다.

결국 이사벨과 테오 남매는 68혁명의 실패를 이미 경험한다.
개인적 해방, 기성세대에 대한 반발로서의 성격이 짙었던 68혁명의 모든 것이 이들
남매의 집 안에서 벌어진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