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는 건축가] 

Derectid by 정재은
2012 / 95min / Korea
정기용, 조성룡, 유걸, 승효상


정재은 감독님을 우연찮게 볼 수 있었던 건 몇 년 전 내한하여 영상 작업 전시를 준비 중이던 양소영 작가를 찾아오시면서였다.
뭐 나야 그저 인사하고 간단한 이야기나 주고 받은 정도지만, 단호해보이는 인상이었지만 무척 차분하고 자상한 말투 하나하나가 무척 뇌리에 박혔던 기억이 있다.
물론 그 당시에도 정재은 감독이 어떤 작품을 작업했는지 잘 알고 있었고.
작품 준비하시는 것에 대해 여쭤봤더니 준비하는 것이 있다고 하셨는데 그 작품이 이 다큐멘터리였던 것 같다.(시기적으로)

이런 예술가를 슬쩍 얼굴이라도 보고 인사라도 해봤다는건, 아주 유치하지만 은근 개인의 이야기꺼리로 얘기하기 좋은 면이 있다.ㅎ
그러니까, 
몇년 전 LG아트센터에서 있었던 크로노스 쿼텟의 내한공연 때 나와 aipharos님의 바로 뒤에 앉아있었던 박찬욱 감독을 보고 사인을 받은 것 같은... 
아주 하찮아 보이는 일도 말이지. 하지만, 우리에겐 결코 하찮은 일이 아니었고, 그 사인 아직도 잘 갖고 있다.ㅎ




우리 집도 아니면서 10년이 되어가는 지금 사는 이 낡은 집.
사실 우린 올해 안에 이사를 갈까 생각 중이다.
내놓은 집이 나가는대로 이사를 갈 생각인데 몇가지 자유로운 선택을 제약하는 것들이 있다.

첫번째는 민성이가 전학을 가기 무척 싫어한다는 점,
두번째는 전학을 가지 않는다면 통학권 내에서 이사를 가야한다는건데, 그렇다면 아파트 외엔 그리 대안이 없다는 점,
세번째는 우리 식구들 모두가 아파트는 결코 가고 싶지 않아한다는 점, 그렇다면 주택을 찾아야하는데 안락한, 
최소한의 독립성이 보장된 주택이 인근에 없다는 점, 그래서 결국 지금과 비슷한 주거 환경이 될거라는 점...

위 세가지가 현재 우리가 맞닥뜨린 문제다.
얼마전 지인의 아담하면서도 고즈넉한 주택에 다녀온 후로 우린 그 인근으로 이사할 생각도 했었으나 아들이 전학은 가고 싶지 않다고 얘기하는 것을 듣고 마음은 접은 상태다. 
나 역시 전학이 얼마나 큰 스트레스인지 잘 알고 있으니까.(물론, 초등학교 전학이었지만.ㅎ)
결국 우린 그토록 싫어하는 아파트로 이사를 가야할지 모른다. 여지껏 아파트에 살면서 한 번도 층간소음 문제를 겪지 않은 적이 없었는데(그게 어떤 아파트였든) 
또다시 성냥갑같은 곳에 들어가야 할지도 모르고, 아니라면 지금처럼 그닥 여유가 없는 집과 집 사이의 간격으로 온갖 소음을 떠안고 살아야하는 환경이 되풀이될 지도 모른다.
나아질게 없다는 이야기.

이쯤되면 궁금해진다.
도대체 언제부터 주거 선택의 옵션들이 이토록 척박해진거지???
서울이고, 인천이고 온통 재개발이라는데, 언제나 얘기했던 바이지만 그 재개발이라는거, 
아무 계획없이 다닥다닥 마구 지어놓은 주택과 연립들이 낡으면 싹 밀어버리고 아파트 짓는 것 외에 다른 의미의 재개발이 있었던가???
(현재 박원순 시장이 출구전략의 하나로 시작한 일부 프로젝트는 예외로 한다. 그런 건설적인 프로젝트는 이제 막 시작된 것이니까)
도대체 왜 이 나라는 재개발=아파트 건설이라는 등식이 성립되고, 당연시되고 그 욕망의 허영에서 허우적거리기만 하는걸까.
이유야 뻔하듯이 어느덧 아파트는 기업들이 합법적으로 대중의 주머니를 털어가는 수준을 넘어, 
허영과 욕망, 계급이 제시하는 얄팍한 가이드라인에서 낙오되지 않으려는 가련한 조바심과 탐욕이 덕지덕지 들어붙어버린 괴물같은 존재가 되어 버렸다.

흔히 아파트가 왜 좋아요?라고 물으면 '편하니까'라는 말들을 한다.
대부분이 이런 대답을 하던데 이 간단한 대답이야말로 이 나라가 얼마나 삶의 방식에 대한 철학이 부재한 것인지를 단적으로 드러내는 일단면이기도 하다.
내가 나의 공간을 귀찮더라도 가꾸고, 신경쓰고, 개비하고, 수리하는 과정이 모조리 거세된 공간.
공간과 교감하거나 공간을 이해할 수 없는 무조건적인 편의를 제공하는 곳으로서의 공간.
우리가 집을 대하는 철학은 솔직히 말하면 딱... 이 수준인거다.
그런데,
저 똑같은 성냥갑같은 아파트에 살면 그냥 편하다는 정도가 되는게 아니라 대중의 사고와 가치가 모두 획일화되어지는 더 답답한 부작용이 기다린다.
아파트 회원 전용 헬스장, 풀장... 내가 어느 공간에 소속되어 갖게 되는 안도감 하지만 삶의 방식은 다 비슷비슷해지고 정치는 아파트라는 공통된 공간, 
획일화된 가치를 통해 대중을 더욱 편하게 획책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된다. 

아파트에선 차고에서 4트랙 녹음기를 놓고 친구들과 기타를 치며 밴드연습을 하기도 힘들고, 
마당에서 자기가 사용할 가구를 만들어보거나 페인트칠 하는 여유따위 가져볼 수도 없다. DIY 가구? 웃기는 소리. 
우리나라 사람들이 DIY가구를 선호하지 않는 건 '귀찮아서'가 아니라 일단 그 제품을 마루에 깔아놓고 널부러뜨려야한다는 생각 때문이다.
호젓한 공간이라도 있어보라. 지금보단 훨씬 귀찮다고 말할 사람이 줄어들거다.
다양한 삶의 방식을 인정할 수 없도록 만드는 것,
나와 옆집, 아랫집, 윗집이 거의 비슷한 삶의 방식을 갖고, 거의 비슷한 가치를 지향하니 그 속에서 비슷한 가치를 손에 쥐기 위해 경쟁을 하고 
그러한 경쟁이 당연시 되는 삶의 방식이 모조리 용인되는 거대한 씨앗은 아파트에서 시작된다.
난 적어도 그렇게 믿어 의심치 않았다.

고인이 되신 정기용 선생님에 대한 다큐멘터리인 이 영화는 이와 같은 나의 생각에 휴머니즘의 단비를 내려줬다.
건축이 어떻게 하나의 문화가 될 수 있고, 공간과 교감하고, 개인과 시대적 역사와 교감하고 소통할 수 있는지, 
그리고 무엇이 우선되어야하는지를 명확하게 알려준 하나의 단비가 되었다.
또한 동시에 얼마나 무지한 토건족들, 혹은 공간을 이해하지 못하는 자들이 세상을 좀먹고 있는지 다시한번 곱씹고, 그 분노를 다시 한번 일깨우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동대문 운동장 건축물은 그 정점이 되었고,
등장하진 않았지만 4대강과 경인운하등도 하등 다를게 없다.

꼭 보시기를 .


*
지병으로 인하여 96년의 모습에 비해 불과 15년이 지났는데 너무나 많이 늙어버린 정기용 선생님의 모습을 보는 건 가슴이 무척... 아프더라.
특히 마지막 야유회 장면은 가슴이 뭉클했다.
영화는 일민미술관에서의 전시가 상당히 비중있게 등장하는데 준비하시면서도 이미 자신에게 다가올 죽음을 치열하게 준비하시는 것 같아 마음이 무거웠다.








+ Recent posts